-
항암화학요법 간호(1-정의, 종류, 항암 전 준비사항)간호사? 2022. 9. 22. 11:36
1️⃣항암 화학요법
: 암을 축소, 억제, 제거하기 위해 화학물질 (항암제)를 사용하는 것
: 1차 목적-> 완치
2차 목적-> 조절과 완화 (증상 완화, 생명 연장, 삶의 질 유지 및 향상)
2️⃣항암제
: 암세포의 각종 대사 경로에 작용해서 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cytotoxicity), 성장억제효과(cytostatic effect)를 나타내는 약제.
3️⃣항암 화학 요법의 종류
(1) 유도 요법(induction therapy): 진행성 암에 대해서 1차적으로 투여되는 화학요법. 일부 암에서는 완치도 가능합니다.
(2) 고식적 화학요법 (Palliative chemotherapy): 완치가 어려운 환자에게 암 진행 속도를 늦춰 증상 조절과 생존기간 연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
(3) 보조 화학요법(adjuvant chemotherapy): 수술(Cancer op)이나 방사선 요법(Radiotherapy, RTx) 후에 미세 잔류 종양을 제거하여 재발을 막기 위해 일정 기간동안 시행하는 것.
(4) 선행 화학요법 (Neoadjuvant chemotherapy)
: 수술 전 미세전이를 제거하고 절제율을 높이며 organ preservation의 효과를 기대하고 시행하는 것.
(5) 동시화학 방사선 요법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 국소 종양에 대해 방사선 요법과 동시에 시행하여 화학요법의 전신적 효과 외에도 국소 종양에 대한 방사선 요법의 효과 증강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
다양한 항암화학요법제들
- 세포독성항암제 :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함께 공격함. 그만큼 부작용도 큽니다.
ex) cisplatin, 5FU, pacilitaxel
- 표적 항암제: 표적 대상이 있는 암세포를 집중적으로 공격하여 부작용은 덜하지만, 표적 대상이 제한적이고 암치료에 있어서 한계가 있음.
ex) bevacizumab, cetuximab, gefitinib..
-면역 항암제: 인체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방식. 효과가 크고 오래 지속되면서 부작용은 적음.
ex) nivolumab, pembrolizumab, atezolizumab..
4️⃣항암제 투여 전!!!!
(1) ECOG scale 일상생활 수행정도 사정
scale: 0
-> definition: 모든 활동 가능, 어떤 제한 없이 병에 걸리기 전과 동일하게 수행하는 것.
scale: 1
-> definition: 육체적인 힘든 일은 제한적이나 거동이나 가벼운 정도의 일은 가능한 정도.
scale: 2
-> definition: 거동이나 자가간호는 가능하나 어떠한 일도 수행하기 어려움
---------------------------------------------------------------------------------------------------여기까지 세포독성 항암치료 가능함.
scale: 3 제한적으로 자가간호 가능하나 깨어있는 시간의 50% 이상은 누워있거나 의자에서 보냄.
scale: 4 완전 무력. Bed ridden
scale: 5 죽음
(2) 항암제 용량 확정을 위해서 BSA(체표면적)을 정확하게 입력해야 함.
BSA(m²) = √[키(cm)x체중(kg)/3600]
-> 항암환자들이 daily로 weight check하는 이유 (height는 입원시 한번만 하면 됩니다)
(3) 당일 lab확인
-CBC :WBC 3000, ANC 1500, PLT 7만5천 미만이면 치료하는거 맞는지 Dr 다시 확인하세요
-OT/PT, TB,DB, Cr, CCR, Electro B등 확인
(4) 항암제 동의서 확인
-전공의가 받았을 거예요. 동의서 없이는 치료 시작 못함!
(5) 환자 및 보호자 교육
-항암화학 요법을 처음 시작했을 경우에는 암환자 교육을 시행한다.
-Regimen변경 시 암환자 재교육을 의사, 간호사, 영양사 등이 시행한다.
(6) 항암화학 요법 치료계획서 (Regimen)을 확인하면서
처방 용량이 체표면적(BSA) 또는 체중을 기준으로 정확한가?
전처치 약물, 보조 수액, 전해질 투여 등이 적절한가? 등을 확인한다.
-> 전처치는 항암부작용( nausea등)을 예방하기 위해 유세트론, 나제아, 에멘드주, 알록시주 등을 30분 전에 투여하고
특별히 환자가 특정 항암제에 뚜렷한 부작용이 있다면 (ex. redness, itching등) 그에 따른 약물(ex. 페니라민)을 미리 투여 할 수 있다
-> 보조 수액은 항암치료 전 hydration을 위해 NS, 5DW 등이 처방된다.
-> flushing용 수액은 NS or 5DW 100ml짜리 1~2개 정도 처방 받으면 된다. (항암제가 어디에 mix되어 있는지에 따라 같은 종류의 수액을 처방 받으면 됨)
-> lab결과등에 따라 추가적으로 Mg, K, Ca 등을 처방받을 수 있다.
(7) 항암제 처방 확인하기.
- 항암제의 투여 순서는 약물간 상호작용을 고려해서 계획함.
Leucovorin, levofolinate은 5FU 전에 투여 ( 5FU 효과를 높이기 위해 )
Paclitaxel, Docetaxel은 Cisplatin 전에 투여 ( 골수 억제 독성을 증가시킨다 )
Dexrazoxane은 Doxorubicin(에이디마이신), Epirubicin 전에 투여함 ( 부작용을 줄인다 )
- 발포제를 비발포제보다 먼저투여 ( 말초정맥으로 발포제 투여 시 일혈 발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비 발포제에 의한 혈관 자극이 일어나기 전에 먼저 투여하는 것임 )
-Regimen에 투여 순서 명시되면 좋겠지만 아니고, 처음 투여하는 경우 ON층 코디네이터 전화하기.
(8) infusion으로 들어가야 하는건지 확인하기
Rituximub, Obinutuzumab, Daraturumab, Blinatumomab, Cetuximab (test dose투여 시), 탈감작 요법 약제
5️⃣ 너무 어려워서 조금 이따가 다시 공부하겠음
'간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 (Taxane, Taxol, 탁솔, 파덱솔) (0) 2022.10.17 항암제 일혈 간호 (0) 2022.09.22 VAC : 진공음압 (1) 2022.09.19 GS breast ca. AC chemo (0) 2022.09.19 GS thyroidectomy 갑상선절제술 간호 (0)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