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id-Base imbalances] Metabolic acidosis / 대사성 산증영어/NCLEX 2024. 5. 24. 20:26
1. 대사성 산증 definition: a metabolic problem due to the buildup of acid in the body fluids which affects the bicarbonate (HCO3 level)
FROM..
i) 산 생성을 많이 했거나, increased acid production (ex. DKA where ketones (acids) increase in the body which decreases bicarbonate)
ii) 산 배출을 적게 했거나, decreased acid excretion (ex. renal failure where there is high amount of waste left in the body which causes the acids to increase and bicarb can't control imbalance)
iii) 비교적 중탄산 HCO3의 소실을 너무 많이 했거나. loss of too much bicarb (diarrhea)
2. HCO3가 낮으니, 높여서 중화시키려고 함.(보상작용) try to compensate to increase the bicarb back to normal.
i) CO2를 내보내서-헉헉헉쿠스마울호흡- 중화시키려 하던지..respiratory system: hyperventilate (by increasing breathing through Kussmaul's respirations; deep and rapid breaths, expelling/blowing off the CO2-acid- which will 'hopefully' increase the pH back to normal.)
3. Lab values (Metabolic Acidosis)
i) HCO3: decreased <22
ii) Blood pH: decreased <7.35
iii) PaCO2: <35 or normal (may be normal but if it is decreased this is the body's way of trying to compensate)
Normal Values for ABGs
1. pH= 7.35~7.45
2. Bicarbonate (HCO3): 22~26
3. PaO2: 80~100mmHg
4. PaCO2: 35~45mmHg
5. SaO2: 95~100%4. S&S
i) Kussmaul's respiration 헉헉헉헉 very deep and fast breathing.
ii) Confused, weak, decreased lucidity N&V, low blood pressure, coma, lethargy, cardiac changes (arrest) hyperkalemia
5. Causes : ACIDS
(A) Accumulation of lactate leading to lactic acidosis (sepsis, shock)
(C) Chronic diarrhea
(I) Impaired renal function (ARF..)
(D) Diabetic Ketoacidosis (DKA)
(S) Salicylates toxicity-아스피린 중독
6. NRS Action
i) Monitor respiratory system: if too bad may need to intubation (preparing ambu, intu set, ventilator...) due to cardiac arrest.
ii) potassium 잘보기, hyperkalemia(ECG change; tall t-waves) can occur. When it's an active acidosis, K+ will be high.
But, when it resolves, hypokalemia can cause with DKA treatment.
iii) Dialysis may be needed if patient is experienceing acidosis (high anion gap issues like..AKF)
iv) DKA: IV fluids and insulin administration to help glucose go back into cell, hence not more ketones (acids), watch hypokalemia b/c insulin moves potassium inside the cell.
v) Monitor neuro status: safety! place in seizure precautions
vi) IV fluids per Dr's order: Sodium bicarbonate, 0.9% Sodium Cholride(isotonic)
High Anion Gap
Anion gap은 혈액 속의 주요 양이온(양전하를 띤 이온)과 주요 음이온(음전하를 띤 이온)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계산 값입니다. 주로 다음 식을 통해 계산됩니다:
Anion Gap=(Na++K+)−(Cl−+HCO3−)
여기서 Na+는 나트륨, K+는 칼륨, Cl−는 염소, HCO3−는 중탄산염을 의미합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칼륨을 생략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기도 합니다:
Anion Gap=Na+−(Cl−+HCO3−)
Anion gap의 정상 범위는 일반적으로 8-12 mEq/L로 간주됩니다. High anion gap은 이 값이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는 체내에 추가적인 음이온이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는 체내에서 산의 축적 또는 염기(중탄산염)의 소실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성 산증입니다. 이 경우, 추가된 산은 음이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anion gap을 증가시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Lactic acidosis: 중증 감염, 쇼크, 저산소증 등으로 인해 발생
- Ketoacidosis: 당뇨병 케톤산증, 알코올성 케톤산증 등
- Renal failure: 신장이 산을 배출하지 못해 발생
- Intoxication: 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살리실산 중독 등
Normal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Normal anion gap metabolic acidosis는 체내에서 중탄산염의 소실 또는 염산(HCl)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성 산증입니다. 이 경우, 소실된 중탄산염을 염소 이온(Cl^-)이 대체하여 anion gap은 정상 범위 내에 머무르게 됩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Diarrhea: 대량의 중탄산염 소실
- Renal tubular acidosis: 신장의 중탄산염 재흡수 장애
- Hyperchloremic acidosis: 염소 이온의 과잉
요약
-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는 체내에서 추가적인 음이온이 축적되어 anion gap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젖산산증, 케톤산증, 신부전, 독성 물질 섭취 등이 있습니다.
- Normal anion gap metabolic acidosis는 중탄산염이 소실되면서 염소 이온이 이를 대체하여 anion gap이 정상 범위 내에 머무르는 경우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설사, 신세뇨관 산증, 고염소성 산증 등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형태의 대사성 산증을 구분하는 것은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Salicylates toxicity
살리실산 중독은 아스피린(살리실산)의 과다 복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아스피린은 진통제와 항염제로 널리 사용되지만, 과다 복용 시 여러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증상
살리실산 중독의 증상은 복용량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초기 증상: 이명(귀울림), 메스꺼움, 구토, 복통
- 중등도 증상: 두통, 어지럼증, 혼란, 빠른 호흡, 발한
- 중증 증상: 고열, 경련, 혼수상태, 호흡 곤란, 심한 대사성 산증
병리학적 메커니즘
살리실산은 체내에서 여러 대사 과정을 방해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대사성 산증: 살리실산이 체내에서 축적되면 산으로 작용하여 혈액의 pH를 낮추고, 이로 인해 대사성 산증이 발생합니다.
- 고양이온 차이 대사성 산증: 살리실산 중독은 대개 고양이온 차이 대사성 산증(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을 유발합니다. 이는 살리실산이 체내에서 산으로 작용하여 음이온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 호흡성 알칼리증: 초기에는 과호흡으로 인해 이산화탄소(CO2) 배출이 증가하여 호흡성 알칼리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치료
살리실산 중독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 흡수 감소: 활성탄을 사용하여 장내에서 흡수를 줄입니다.
- 체내 제거: 알칼리성 용액을 정맥 주사하여 소변을 알칼리화함으로써 살리실산의 배설을 촉진합니다.
- 중증 중독 시: 혈액 투석을 통해 살리실산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요약
살리실산 중독은 아스피린 과다 복용으로 발생하며, 고양이온 차이 대사성 산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호흡성 알칼리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중증 경우에는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에는 활성탄 사용, 알칼리성 용액 투여, 그리고 심한 경우 혈액 투석 등이 있습니다
'영어 > NCL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id-Base imbalances] Respiratory Alkalosis / 호흡성 알칼리증 (0) 2024.05.25 [Acid-Base imbalances] Respiratory acidosis / 호흡성 산증 (0) 2024.05.25 [Acid-Base imbalances] Metabolic Alkalosis / 대사성 알칼리증 (0) 2024.05.24 [시험 접수] NYSED 들어가서 직접 접수하기 (Step 2. Application form 작성하기) (0) 2024.05.15 [시험 접수] NYSED 들어가서 직접 접수하기 (Step 1. 서류준비) (0)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