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항암제 일혈 간호

선키 2022. 9. 22. 12:22

항암제 일혈 간호

 

1️⃣일혈 (extravasation)

- 혈관을 통해 주입되던 항암제가 혈관 주위나 피하조직으로 유출되는 것

- 약물의 종류나 양에 따라 조직에 염증 및 괴사를 유발함.

ex) 처음엔 reddness at extravasation area -> redness & swelling develops -> bullouse -> the skin peels off -> loss of sensation & deep tissue necrosis develops

결국 surgical debridement 함..

 

2️⃣일혈 가능한 약제 종류

-발포제 (Vesicant):혈관 밖 피하조직으로 누출 시 세포손상과 조직파괴를 유발하는 약제

ex. dactinomycin, daunorubicin, doxorubicin, epirubucin, ldarubicin, melphalan, mitomycin, vinblastine, vincristine, vindesine, vinorelbine

-비발포제(Irritants): 통증, 작열감, 혹은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약제

local inflammatory reaction 있을 수도 있음

다량이 일혈된 경우 잠재적으로 vesicant 정도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약제도 있음. 

ex. carmustine, cisplatin(0.5mg/ml 농도 20ml이상 유출 시 vesicant 가능), dacarbazine, daunorubicin liposomal, docetaxel, doxorubicin liposomal, etoposide, irinotecan, topotecan

Mitoxantrone, oxaliplatin, paclitaxel -> vesicant 가능성 있음.

 

3️⃣일혈 병태생리

-DNA binding type

:Anthracyclines (doxorubicin, daunorubicin, idarubicin), antitumor Antibiotics (mitomycin)

:DNA에 결합하여 건강한 세포의 cell death

:주위 조직으로 DNA - anthracycline complex가 유리됨

:주변의 정상 세포로 영향이 확인 ( "recirculated" )

:조직 누출 시 즉각적 손상 뿐 아니라 일혈 발생 후 7~10일이 지나야 손상의 정도를 제대로 확인 가능함.

 

-DNA non binding type 

:Vinca alkaloids

:DNA binding type 보다는 손상이 국소적이며, 덜 심각함.

:약제가 조직 내에서 대사되며, 보다 쉽게 중성화됨.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