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NCLEX

[Endocrine] Diabetic Ketoacidosis (DKA) 당뇨병성 케톤 산증

선키 2024. 5. 25. 19:03
  1.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happen suddenly.
  2. Lack of insulin -> intracellular starvation -> body breaks down fat for energy -> high levels of acidic ketones (metabolic acidosis)
  3. Kidneys react by increasing excretion of excess glucose -> diuresis -> dehydration -> hypovolemic shock

Risk factors:

1. type 1 diabetes mellitus as a first-time presentation 

2. Not taking prescribed insulin

3. Physical stress(Surgery, illness, trauma)

 

Clinical Features

1. Symptoms of hyperglycemia

-polyuria

-polydipsia

 

2. Symptoms of acidosis

-N/V, abdominal pain

-Fruity odor on client's breath

-Kussmaul respirations

-Lethargy

 

3. Features of hypovolemia

-Dry skin and mucous membranes

-Hypotension and tachycardia

-Dizziness and orthostasis

 

4. Laboratory studies

-Elevated blood glucose

-Eleveted serum and urine ketones

-Low serum pH (metaloic acidosis)

-Hyperkalemia

 

5. NRS Action

-Administer 0.9% sodium chloride( This is priority for hypovolemic shock) or 0.45% half NS,

or..5DW+0.45NS when glucose is around 250 to 300. ( This will help gradually bring the blood sugar down and help the insulin do its job by removing the ketones. )

-Administer IV regular insulin(RI) -  make sure K+ is normal >3.3

-Assess blood glucose every hour

-Monitor arterial blood gas levels

-Monitor for rebound hypokalemia after IV insulin replacement : Continuous cardiac monitoring. 

 

 


When there is a lack of insulin to transport glucose into cells, glucose accumulates, creating an osmotic gradient that leads to diuresis (ployuria) and fluid loss.

인슐린이 부족해서 당을 세포에 운반하지 못하면, 당은 계속 쌓이면서 삼투 경사를 만들어내고, 그것이 다뇨과 수분 손실을 야기합니다.

If the hyperglycemia persist, the process continues, and the fluid volume deficit decreases cardiac output and perfusion to vital organs (hypotension),

만약 고혈당증이 지속되면, 다뇨와 수분 손실이 계속되어 체액의 양은 계속 부족해져서 심장 박출양도 줄어들게 되어 혈압도 낮아질겁니다..

The heart rate increased (tachycardia) to compensate for the decrese in cardiac output. Without immediate treatment, compensatory mechanisms eventually fail, and the client is at risk for developing life-threatening hypovolemic shock.

심출양이 줄면 보상작용으로 심장박출의 속도 자체는 빨라집니다. 즉각적인 치료 없다면 이러한 보상작용도 결국은 실패하여 환자는 저혈량성 쇼크를 맞게 됩니다.

 

 


삼투 경사(osmotic gradient)는 두 개의 용액 사이에 존재하는 삼투압의 차이를 말합니다. 삼투압은 반투과성 막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원동력이 되는 압력입니다. 삼투 경사는 용액의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물이 이동하게 합니다.

삼투 경사의 중요한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농도 차이: 두 용액의 용질 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용질이 적은 쪽이 삼투압이 낮고, 용질이 많은 쪽이 삼투압이 높습니다.
  2. 반투과성 막: 두 용액을 분리하는 막이 있어야 하며, 이 막은 물 분자는 통과시키지만 용질 분자는 통과시키지 않습니다.
  3. 물의 이동: 삼투 경사에 의해 물이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여 농도를 균등하게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개념은 생물학, 화학 및 의학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세포막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삼투 경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장에서는 삼투 경사를 이용하여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식물의 뿌리에서는 물이 흡수될 때 삼투 경사가 작용합니다


Polydipsia (다갈증)

  • 정의: 비정상적으로 심한 갈증과 물을 많이 마시는 상태를 말합니다.
  • 원인: 체내의 체액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합니다. 주로 혈당 수치가 높아져 몸에서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게 될 때 발생합니다. 고혈당이 있으면 신장이 과도한 당을 소변으로 배출하려고 하면서 더 많은 수분을 사용하게 되어 갈증을 유발합니다.
  • 관련 질환: 당뇨병, 탈수, 특정 약물 사용 등.

Polyuria (다뇨증)

  • 정의: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소변을 보는 상태를 말합니다.
  • 원인: 신장이 소변으로 많은 양의 당을 배출하려고 할 때, 더 많은 물이 함께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소변의 양이 증가합니다. 이는 또한 혈당 수치가 높을 때 발생하는 일반적인 반응입니다.
  • 관련 질환: 당뇨병, 만성 신장 질환, 특정 이뇨제 사용 등.

Symptomatic hyperglycemia -polydipsia, polyuria

now had findings of upper respiratory infection: sore throat and nasal congestion for the past week, hypovolemia, and potential acute abdominal condition. Initial assessment of a client involves identifying indicators of life-threatening conditions. For this client, the following findings are the priority for follow-up:

-Decreased level of consciousness (The client appears drowsy and is oriented to person and time only.)

It places the client at increased rish for injury and aspiration and may indicate impaired brain perfusion. This may be due to hypotension or hyperglycemia-induced cerebral edema.

-Tachycardia(HR:128) occurs to compensate for hypotension or can be the cause of hypotension and requires prompt attention to prevent cardiovascular collapse. 

-Tachypnea(RR:30) concerning, particularly when associated with rapid, deep respirations, because it may indicate a compensatory response to an underlying metabolic acidosis (eg. ketoacidosis, hypotension-induced lactic acidosis)

-Hypotension(88/60) causes impaired organ perfusion that could be life threstening without immediate intervention.

-Severe hyperglycemia (600) may indicate diabetic ketoacidosis (DKA), a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diabetes mellitus. it also has a diuretic affect leading to fluid loss that worsens cardiovascular compromise.

-Delayed menstruation (eg. time cince last menstruation exceeds typical cycle legnth) could indicate that the client is pregnant, which presents a risk for pregnancy-related complications (ruptured ectopic pregnancy) and affects acre provided to the client (eg. avoid x-rays and teratogenic medications)

 

 

The priority intervention for management of DKA is fluid resuscitation with isotonic IV fluid, typically starting with large-volume 0.9% sodium chloride IV boluses (eg. 1L/hr) to prevent life-threatening hypovolemic shock. Fluid resuscitation also helps normalize glucose and electrolyte levels via hemodilution.

After initial large-volume boluses are complete, either hypotonic or isotonic IV fluids are administered at continuous rate. Administration of regular insulin continuous IV infusion is also essential to correct hyperglycemia. 

 


삼투성 이뇨(osmotic diuresis)는 특정 물질(주로 당분과 같은 고삼투성 물질)이 신장에서 여과될 때 소변으로 물을 함께 끌어당겨 소변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요 개념

  • 고삼투성 물질: 삼투성 이뇨의 주요 원인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고농도의 물질(예: 포도당)입니다. 이 물질들이 신장 세뇨관에서 재흡수되지 않으면, 삼투압의 차이로 인해 물이 소변으로 더 많이 배출됩니다.
  • 신장에서의 과정: 정상적인 경우 신장은 물과 다양한 물질을 재흡수하여 체액 균형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고삼투성 물질이 많으면 이 물질들은 세뇨관에서 물을 끌어당기며, 재흡수가 어렵게 됩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양의 물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 결과: 소변의 양이 증가하고, 이는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당뇨병: 고혈당으로 인해 포도당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될 때, 물을 끌어당겨 소변량이 증가합니다.
  • 만니톨: 고삼투성 물질로, 급성 신부전과 같은 특정 의학적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삼투성 이뇨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요 증상

  • 다뇨증 (polyuria): 소변량의 증가.
  • 다갈증 (polydipsia): 증가된 소변 배출로 인한 심한 갈증.

요약

삼투성 이뇨는 고삼투성 물질이 신장을 통해 배출되면서 물을 함께 끌어당겨 소변량이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주로 당뇨병과 같은 질환에서 발생하며,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