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병동에서 응급상황시 대처법> :CPR상황

선키 2022. 12. 6. 03:55

<업무분담>

 

1️⃣담당( 발견한 사람 ) -> 모니터링 담당 간호사

'CPR 외치고 도움&제세동기 요청'

ㄴ맥박과 호흡을  동시에 확인해야 함. (10초 이내)

- electrode 부착, EKG monitoring 시작.

- 심박동 없을 시 흉곽 밑에 하드보드 깔아준다.

- 패들에 전도젤리 바르고

- defibrillation 시 synchronized button off

- energy 선택 후 충전 button 누르고 충전됨을 알린다.

- defib 후 심전도 리듬을 관찰한다.

- 간호기록

- CPR 후 cart에 약물과 물품 보충.

 

2️⃣중간경력: E-cart(제세동기) 및 O2 준비.

O2연결하고 앰부배깅, suction 준비. 

hard board 및 발판 준비.

Intubation 준비 및 고정.

(삽관 시 물품전달순서: 후두경-> ET tube -> air way -> 고정테이프로 위방향 한바퀴, 아래방향 한바퀴 감음.)

ambu mask이용해서 100% 산소를 공급

E-tube cuff 팽창시켜 셀라인에 담가 공기 새는지 확인후 stylet 삽입해서 적절하게 굽혀줌.

앙와위로 취하고 목이 과신전되지 않게 얇은 베개로 머리 고여주고

E-tube삽입되면 stylet을 제거하 후 ambu bag을 연결시킨다.

청진으로 e-tube의 위치가 확인되면 ballooning 시킨다.

적절한 크기의 airway

 

3️⃣

그외: 'CPR 방송 (1119, 야간에는 4#0*10#)

 

4️⃣

기본 소생술(cardiac arrest)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