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면접 준비] 기관 절개관 환자, QI활동, 당뇨병 및 인슐린, TIME OUT, 매슬로우욕구 5단계
<기관 절개관 환자>
1. 적응증) 응급으로 폐쇄성 상기도를 열어주어야 하거나, 장기적인 인공호흡이 예측되는 경우 시행
2. 간호) - 기관절개관 폐쇄 방지, 기관절개관 청결 및 피부보호, 기관절개관 주변 감염방지
- 적절한 가습과 가온을 유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적용
- 필요시 흡인을 통해 효과적인 가스교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 기도내 조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커프 압력을 적절히 유지 20-25mmHg
- 기관절개관의 고정끈은 너무 조이거나 헐겁지 않도록 손가락 2개 들어갈 여유를 두고 설정
3. 기관절개관 갑자기 빠졌을 때 간호
-산소포화도 확인하면서
-청진기 사용하여 기관절개구 & 상기도의 기도 개방성을 확인한다.(뚫린부위 확인해서 그쪽으로 산소공급하려는 것임)
- 공기소리가 기관절개관에 나면 뚫린 기관절개구로 산소를 공급함.
- 공기소리 기관절개관에 안나고 상기도로만 난다면 상기도(코와입)으로 앰부배깅
- 공기소리 둘다 안나면 둘다 막혔다는 의미로 기관절개구 멸균거즈로 막고 상기도 앰부배깅. 응급이므로 CPR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의사에게 보고 후 기존에 삽입되었던 것과 같은 크기의 기관절개관과 한단계 작은크기를 모두 준비하여 재삽입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의사가 올때까지 환자 사정하고 주의깊게 산소포화도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QI 활동>
- QI활동경험은 없으나, 만약 기회가 된다면 감염관리활동을 주제로 QI를 하고 싶습니다.
- 중환자실에 근무한 적은 없지만 실습시 외부 요양기관에서 전원온 환자에 의해 다제내성균이 발생하거나 중증환자들에게 감염확산이 높기 때문에, 접촉주의 지침을 비롯하여 손위생, 의료기구 및 환경 관리에 대한 개선활동을 시행하고 싶습니다.
<인슐린 종류>
- 초속효성 인슐린 (Rapid-acting) – 예: 리스프로, 아스파르트
- 식사 직전에 투여하며, 빠르게 작용합니다.
- 속효성 인슐린 (Short-acting) – 예: 레귤러 인슐린
- 식사 후 30분~1시간 내에 작용하며, 비교적 중간 지속성을 가집니다.
- 중간형 인슐린 (Intermediate-acting) – 예: NPH 인슐린
- 약 4~6시간 정도 지속되며, 기저 혈당 조절에 사용됩니다.
- 장시간형 인슐린 (Long-acting) – 예: 글라진, 덴덜 인슐린
- 24시간 이상 지속되며, 기저 인슐린으로 사용됩니다."
이런 인슐린 종류들은 각 환자의 필요에 따라 식사 조절, 혈당 모니터링 등을 통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당뇨병>
16. 당뇨의 종류 2가지
분류 | Type 1 당뇨병 (의존) | Type 2 당뇨병 (비의존) |
분류IDDM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
NIDDM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
|
원인 | 췌장의 문제로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발생 (자가항체, 바이러스 감염, 염증으로 췌장의 βcell 파괴) |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력은 있지만 충분히 만들지 못하거나 인슐린 저항성으로 발생 (유전적 소인, 비만, 노화, 운동 부족 등) |
연령 | 젊은 연령 | 중년기 이후 |
양상 | 갑자기 발병 | 서서히 발병 |
특징 | 경구 혈당강하제 효과 없음 반드시 인슐린 주사로 치료 케톤산증 발생하기 쉬움 |
당뇨병의 대부분 차지 식사 조절과 적절한 운동 요법 병행해 치료 |
치료 | 인슐린 주사 | 식이요법, 경구약물, 인슐린 |
의식이 없이 쓰러진 저혈당 환자에게 할 수 있는 중재
- 50% 포도당 50㎖를 정맥 주사 또는 1㎎ 글루카곤 근육주사
(무의식 환자에게 주스나 설탕물을 구강에 넣어주는 것은
기도 흡인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절대 삼가도록 한다)
※ 의식 있는 환자
- 의식이 있는 경우 당질을 함유한 음식이나 음료를 제공
- 사탕, 초콜릿 등 속효성 탄수화물 제제/ 시럽이나 꿀 1큰 스푼
- 빨리 흡수되는 당질 음료를 2~3회 투여 후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으면 즉시 의사에게 연락한다.
저혈당 증상
- 빈맥, 떨림, 발한, 공복감 같은 자율신경계 장애가 나타나며
혼돈, 두통, 시력 장애와 같은 중추신경계 장애가 나타남
당뇨 식이
- 일정한 시간에 알맞은 양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먹는다
- 설탕이나 꿀 등 단순당의 섭취 X
- 식이섬유소를 충분히 섭취
- 지방을 적절히 섭취하되 콜레스테롤의 섭취는 제한
- 염분 섭취를 줄임
- 음주는 피하도록
인슐린 투여 경로, 방법, 부위, 주의사항
① 경로: 피하주사 SC (Subcutaneous injection)
② 방법
- 주사 놓을 부위를 알콜솜으로 크게 닦아준다.
- 주사 부위를 엄지와 검지로 집어준다
- 90도로 신속하게 찔러준다 (1.5cm이하의 바늘일 경우)
- 약물은 천천히 밀어넣는다
- 약물을 주입한 후엔 신속하게 빼낸다
- 알콜솜으로 문지르지 않고 꾹 누른다.
③ 부위: 복부, 상완, 대퇴
④ 주의사항
인슐린 투여 후 저혈당 증상 확인
(창백, 발한, 떨림, 두통, 공복감, 심계항진)
투여 전 혈당 측정
투여 시 주사 부위 매회 변경 (지방위축증, 비대증 예방)
마사지하지 않도록 교육 (흡수 속도 증가해 저혈당 옴)
환자한테 하는 것처럼 당뇨 교육해보세요.
저혈당 증상 (창백, 발한, 떨림, 두통, 공복감, 심계항진)
고혈당 증상 (목마름, 빈뇨, 피곤, 졸림, 입에서 단내)
저혈당 대비해 사탕/ 초콜릿 휴대하도록
인슐린 자가 주사시 부위 돌아가며 하도록, 마사지 하지 말 것
식사 거르지 말고 제때 섭취하도록 설명+운동,
당뇨병 진단 기준은?
① 적어도 8시간 이상 NPO 시 혈당 126mg/dL 이상
② 당화혈색소 6.5% 이상
③ 경구 당부하 검사 → 식후 2시간 혈장 혈당 200mg/dL 이상
④ 당뇨 전형적 증상 있으면서 무작위혈장포도당 200mg/dL 이상 (다뇨, 다음, 설명되지 않는 체중 감소)
<당뇨환자 수술 전 수액 특징?>
당뇨환자 수술 전에는 Alberti Regimen(Glucose+RI+KCL 을 혼합하여 사용)을 적용하여 혈당 조절이 필요합니다. 이는 수술 환자의 감염 위험성과 합병증 발생률을 줄이기 위해 수술 전 24시간 동안 혈당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time out>
Time-out은 의료 현장에서의 중요한 안전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수술이나 처치 전에 모든 팀원이 참여하여 환자, 절차, 부위, 그리고 치료 목적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실수를 예방하며,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수술 전에는 수술 부위, 환자 이름, 절차 내용 등을 확인하여 교차 검사를 철저히 시행합니다. 이러한 time-out 절차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실수를 막는 데 꼭 필요한 프로세스입니다
<매슬로우욕구 5단계>
- 1단계는 생리적 욕구: 공기, 영양, 배설, 수분, 체온조절로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 욕구
- 2단계는 안전과 안정 욕구: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고 싶은 욕구
- 3단계는 사랑과 소속감 욕구: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고 어떤 집단 구성원이 됨으로써 소속감 느끼고자 하는 욕구
- 4단계는 자아존중 욕구: 스스로 자기 자신 존경, 인정, 가치 있는 존재로 생각 욕구
- 5번째는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
=>하위욕구에서 상위욕구로 올라가는 것으로/ 각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었는지를 사정하고 각 기본 욕구의 핵심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수행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