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직무 면접 준비] 수술 전 항콜린제, 복강경 수술 후 방사통, DNR, 항혈전요법, 간호기록, E-CART
선키
2024. 12. 27. 17:17
<수술 전 항콜린제 투여 목적>
첫째, 분비물을 감소시켜 흡입성 폐렴이나 기도 폐쇄 같은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둘째, 부교감신경 억제를 통해 심박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심혈관 기능을 확보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술 중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마취 깊이를 조절하고 순환계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복강경 수술 시 방사통 나타나는 이유>
- 주로 수술 중 복강 내에 주입된 가스 때문입니다.
- 복강경 수술에서는 시야 확보와 공간 확보를 위해 복강 내에 이산화탄소(CO₂)를 주입
- 이 가스가 횡격막이나 주변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어깨나 상복부에 방사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아는 것>
- 사전연명의료의향서DNR 는 환자가 치료의 한계성과 임종 시 원하는 의료 처치에 대해 미리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연명의료 중지 또는 지속 여부를 결정
-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임종 시 필요한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사용, 혈액투석 등의 치료 선택 여부를 명확히 하는 역할을 합니다.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며, 가족이나 의료진이 불필요한 의료적 갈등이나 의사소통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항혈전요법 설명>
- 항혈전 요법은 혈전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료법입니다. 주로 심혈관 질환, 뇌졸중, 폐색전증 등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됩니다.
- 항응고제는 헤파린, 와파린 / 혈액 응고 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혈전을 예방
- 항혈소판제는 아스피린 /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을 방지
- 항혈전 요법은 출혈 합병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치료 시 반드시 적절한 용량과 시기, 환자의 상태를 꼼꼼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cart에 무엇이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확인하는지>
- 응급약물: 첫 째 칸에 10가지 약물이 기준에 맞게 정리되어 있는지 확인
Isoptin(verapamil) 5mg/2ml |
Phenylephrine 10mg/1ml |
||
Cordarone (amiodarone) 150mg/3ml |
Adenocor (adenosine) 6mg/2ml |
Levophed (Norepinephrine) 4mg/4ml |
Magnesium sulfate 10% 2g/20ml |
Epinephrine 1ml/1ml |
Sodium bicarbonate 20mEq/20ml |
Calcium gluconate 2g/20ml |
Atropine (atropine sulfate) 0.5mg/1ml |
- 이솝틴, 페닐에프린, 아미오다론, 아데노신, 노르에피네프린, 마그네슘설페이트, 에피,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칼슘글루코스, 아트로핀
- 아트로핀도파민 for 부교감신경 차단제, 서맥
- 아데노신 6mg 넣어보고 1-2분 후 12mg 넣어보고 쿵~하는 느낌 든다 미리 말하기. 1-2초 내로 투여 후 NS 흘려보내서 급속 정주. for 빈맥
- Airwat, E-tube, stylet, laryngoscope, suction tip, 고정테이프, EKG cable 및 lead wire, electrode, ambu bag, defibillator, penlight 등이 있습니다. ]
- Defibrillator는 항상 전원코드를 꽂아서 충전
- EKG paper는 제대로 끼워져 있고, 충분하며, 인쇄상태가 좋은지 확인
- Laryngoscope blade 보관 시에는 소독 후 멸균 거즈에 싸서 blade 보관용기에 보관
- Ambu bag은 새는 곳이 없는지 기능 확인(ambu bag 입구를 손바닥으로 막고 bag을 눌러 새는 곳 확인)
- EKG cable 및 lead wire는 defibrillator에 항상 부착해두고 electrode 함께 준비
- 점검 시 각 응급기구 및 물품들의 사용 가능한 상태와 유효기간 및 기능 등 확인
- 스티커가 떨어져있다면 재점검 후 새로 스티커 부착
- 문제가 있는 경우 즉각 조치하여 항상 사용 가능한 상태 유지
<간호기록지 작성법>
- 정확성: 사실이나 관찰한 것만을 기록하고, 주관적인 해석은 삼가야 합니다.
- 적합성: 환자의 건강문제와 간호에 관계되는 정보만을 기록하고, 사생활 내용은 기록하지 않습니다.
- 완전성: 환자에 대해 얻은 모든 자료를 완전하게 기록해야 합니다.
- 간결성: 기록은 간결해야 합니다.
- 적시성: 기록은 간호행위 직후에 해야 하며, 미리 사전에 기록해서는 안 됩니다.
- 형식성: 기록은 일정한 형식으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 보안성: 의료인은 대상자로부터 얻은 모든 정보의 비밀을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고혈압 약물>
- 이뇨제는 체내 수분과 나트륨 배출을 촉진하여 혈액량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 칼슘 채널 차단제 (CCB)는 혈관 수축을 억제하여 말초 저항을 줄입니다.
- ACE 억제제와 ARBs는 Angiotensin II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관 수축을 완화합니다.
- 베타 차단제는 심박수와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켜 산소 소비량을 줄입니다.
- 알파 차단제는 말초 혈관의 수축을 억제합니다.
- 알도스테론 수용체 차단제는 체내 수분과 나트륨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 중추 작용제는 뇌의 교감신경 활동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 세포막 안정화제는 급성 고혈압 위기 치료에 사용되며, 말초 혈관을 확장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중 약제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self stop하면 반동성 고혈압이 생길 수 있으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