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직무 면접 준비] 동정맥루, 섬망과 치매, COPD와 산소, 저혈당, 감염관리 지침, 중심정맥압

선키 2024. 12. 27. 17:15

 

 

 

 

<동정맥루 간호>

  1. 시술부위 전율(thrill), 잡음(bruit) 있는지 확인. 
  2. 수술받은 팔에 혈압,채혈, IV 금지
  3. 누르거나, 무거운 물건 들거나, 압박하는 시계착용 등 금지.
  4. 피스츌라 사이트 감염 예방- 상처나지 않게, 긁지 않게, 목욕 시 너무 세게 닦지 말라 교육합니다.

 

<섬망치매>

  1. 섬망: 급성 뇌기질 장애, 일시적, 가역적
  2. 간호? 혼자두지 않는다, 밤에 완전소등하지 않는다, 시간장소사람에 대해 직접적이고 명확한 의사소통, 자극이 없는 환경 유지(방문객 수 제한, 치료자 수 제한)
  3. 치매: 만성 뇌기질 장애, 영구적, 비가역적
  4. 간호? 
  • 인지자극: 기억을 자극하는 활동(사진, 음악, 회상요법), 일상루틴 유지해서 혼란방지
  • 안전관리: 방향감각상실로 인한 길 잃음 방지 장치를 착용, 집안 환경 단순화하고 장애물 제거
  • 의사소통: 짧고 단순한 문장 사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활용
  • 돌봄제공: 신체적 요구(영양,위생,배변) 충족, 말기에는 전반적 돌봄 및 편안함을 중점적으로 제공

 

<산소 농도 구하는 방법> 

  1. FiO₂(Fraction of Inspired Oxygen)는 환자가 흡입하는 산소의 농도
  2. 대기 중 산소 21%이고, 나잘로 산소 공급 시 , 1L당 약 FiO2 4%가 증가한다. 
  3. 하이플로우나 벤트를 이용하면 정확한 FiO2를 설정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COPD 산소 농도>

  1. 과도한 산소투여는 오히려 호흡중추를 방해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장애를 악화시킬 수 있다. 
  2. 목표 산소포화도 (88~92%)유지
  3. 낮은 Fio2로 시작해 필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절. 대개 FiO2 24~28%에서 산소투여.
  4. 초기치료 나잘캐뉼라사용, FiO2를 더 정확히 조절해야 한다면 벤츄리쓰고 중증환자에게 하이플로우를 적용할 수 있다.

<네뷸라이져 후 간호>

  1. 네뷸 후에는 입안에 남은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가글을 시행합니다.
  2. 특히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은 구강 칸디다증(아구창)과 인후통을 유발할 수 있어 필수적입니다. 
  3. 아구창은 면역력 저하나 구강 위생이 부족할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4. 따라서 가글, 구강 청결 유지, 그리고 네뷸라이저 기구의 철저한 소독이 중요합니다.

 

< 저혈당 발생 이유(혈당 70이하)>

  1. 인슐린 , 당뇨약의 과도한 효과
  2. 부적절한 음식섭취(식사를 거르거나 늦게 먹을 때,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또는 균형잡히지 않은 식단)
  3. 과도한 신체활동
  4. 신체 대사 이상-내분비질환으로 호르몬 불균형이 왔을 떄. 애디슨병:코티졸 부족으로 저혈당 발생.

 

< 임종 시 증상 간호 >

  1. 불규칙한 체인스톡 호흡, 호흡음이 거칠고 가래 끓는 소리 death rattle
  2. 혈액순환감소-사지 차갑고 청색증. 맥박 약화, 저혈압
  3. 의식 변화: 혼미, 혼돈, 의식저하.
  4. 통증-몰핀
  5. 식욕부진, 삼킴장애, 소변감소, 대소변실금 가능

<감염관리지침에 대해 말해보세요>

 

표준주의?

  • 미생물 전파 예방위해 진단명, 감염상태에 관계 없이 모든 환자 의료진에 적용되는 격리 조치
  • 혈액, 체액, 분비물(땀 제외), 피부 손상부위, 점막 등에 적용되며
  • 손위생, 장갑, 마스크, 고글, 가운, 병원 내 물품 사용과 주의에 관련 내용 포함

 

접촉주의(CRE, MRSA,CDI)

  • 대상자와 환경과의 직접 접촉 혹은 간접 접촉에 의한 감염 전파 위한 지침
  • 감염예방 위해 손위생
  • 환자 접촉 전 가운, 장갑 등 개인 보호용구 착용, 병실에서 나오기 전 벗고 나옴
  • 접촉 후 손위생, 환경관리 시행
  • 환자 사용 물품 다른 환자와 같이 사용 x
  • 1인실 사용, 필요시 코호트 격리

 

비말주의(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백일해, 풍진)

  • 비말핵의 크기가 5마이크로 이상 병원균에 의한 감염전파
  • 손위생, 일회용 마스크
  • 1인실, 코호트 격리

 

공기주의(홍역결핵수두)

  • 비말핵의 크기가 5마이크로 이하 병원균 감염전파
  • 손위생,  N95 마스크 착용
  • 음압병실, 병실 문 닫기

 

역격리 환자 간호

  • 병실 들어갈 때 손위생하고 정해진 가운, 장갑, 마스크 착용 
  • 내과적 무균법 준수 간호 수행
  • 역격리 환자 사용하는 토니켓, 혈압계, 체온계, 청진기 는 병실 내 비치, 다른 환자 공유x
  • 역격리 환자 이동 시 환자 보호 위해 마스크, 가운 착용
  • 양압병실 사용, 병실 문 되도록 닫습니다.
  • 양압병실: 대기압보다 병실 기압이 높은 상태, 면역력 저하로 역격리 필요 환자
  • 음압병실: 대기압보다 병실 기압이 낮은 상태, 홍역, 결핵, 수두 등 공기주의 환자에게

<결핵환자 간호>

  1. 결핵환자 간호 시 간호사가 해야 할 precaution 공기주의 ->N95마스크, 보호장구 착용, 음압병실
  2. 객담검사 양치를 안한 상태로 아침식전에 뱉습니다.(밤 사이에 폐에 고인 가래에 가장 결핵균이 많아서) 또한 객담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채취 전에 칫솔질 하지 않고 물로만 입안을 헹구도록 한다.
  3. 충분한 양을 뱉은 후 바로 검사실이나 간호사실에 제출합니다. (결핵균은 자외선, 고온, 건조에 취약하므로 뱉은 후 바로 배양검사를 해야 살아있는 결핵균을 배양할 수 있음)
  4. 환자 검사 위해 병실나갈땐 가운과 마스크 착용 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함. 

<A,B형 간염>

  1. A형간염(대변-구강): 감염된 대변이나 이에 오염된 음식물로 인해 전파됩니다.
  2. A형간염 별다른 치료가 없기 때문에 적절한 손 위생, 음식 가열 조리(1분간 85℃ 이상), 오염된 물 주의, 먹다남은 음식은 버리기, 환자의 식기나 린넨은 분리해 소독

 

  1. B형간염(혈액,체액): 모유/타액/분비물 -> 전파됩니다.
  • 체액 혈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장갑, 마스크, 가운, 손씻기 (표준주의) 

 

 

<감염 징후>

  • 발열, 오한, 빈맥, 호흡수 증가, 식욕부진, 쇠약감, 감염부위 삼출물
  • wbc, esr, crp 등이 상승

 

<의료관련감염(HAI)>

  •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행위와(시술, 치료) 관련되어 발생하는 감염
  • 요로감염, 혈류감염, 폐렴, 수술 후 창상 감염

 

<코로나 19는 감염관리 원칙>

  • 표준주의를 기본적으로 적용
  • 환자, 상황에 따라 비말주의, 접촉주의, 공기주의

 

<중심정맥압 측정 목적과 정상수치>

  1. 목적) 심장의 우심실 기능과 체내 혈액량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로 수액상태, 심기능, 전반적 순환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정상치) 5-10mmHg (5-15cmH2O)
  3. 종류)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 말초 정맥을 통해 삽입되며, 장기간 사용 가능.

Triple Lumen Catheter

  • 세 개의 루멘이 있어 수액, 약물 투여, 혈액 채취가 동시에 가능.

Tunneled Central Venous Catheter (Tunneling CVC)

  • 피부 아래 터널링하여 감염 위험성을 줄인 장기간 사용 가능.
  1. 합병증)감염-패혈증 -> 무균술 준수, 카테터부위 청결 유지 및 정기적 드레싱 교체 필요

기흉-> 즉시 CxR찍고 필요시 흉관삽입

혈전->카테터확인하고 필요시 혈전용해제 및 항응고제 투여

카테터 파손-> 파손조각이 정맥내로 이동해 합병증 유발->즉시 카테터 제거 및 재삽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