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직무 면접 준비] ABGA, 석션, IICP, EVD, 출산 임박 증거

선키 2024. 12. 22. 18:21

 

 

 

 

<호흡성 산증>

체내에 CO2가 축적되면서 보상작용으로 HCO3를 가지며 산증을 완화

-> CO2 제거 위해 호기연장 위해 pursed-lip breathing

적절한 기도유지와 환기가 최우선 (기도개방을 위해 석션이나 기관지확장제를 투여하거나, 기관삽관이나 인공호흡기 적용)

낮은수준의 산소공급

③진정관련 약물용량을 조절하거나 중단이 필요

 

<호흡성 알칼리증>

가장 흔한 원인은 COPD, 폐렴 등의 폐질환에서 저산소증에의해 호흡중추자극되어 호흡증가되는 것. 

체내 CO2 너무 많이 배출됨. (과도한기계환기), 적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함.

호흡 보조(종이봉지이용해 CO2 다시 들이마시게)

② 불안으로 인한 과다 환기시 불안 감소시키기 위한 정서적 지지, 필요시 진정제 투여

③ 저산소증이 있을때는 산소요법을 적용

 

<대사성 산증>

다 낮음 pH, HCO3낮고- 컨디션 안좋아지는게 눈에 보이고 회복도 안돼..

각종 대사산물(젖산, 요산 ,질산, 케톤산)들이 축적되어 나타남. 보상작용으로 쿠스말호흡(깊고빠른 과일냄새호흡)

-BUN, Cr 상승의 경우 소변량 감소->노폐물 쌓여 발생. 이뇨제 사용해서 소변량 늘리거나

비본(중탄산염)사용해서 산증 완화, 호전되지 않을시 CRRT 통해 환자 치료

③-DKA의 경우: 인슐린, 수액 투여해 혈당 낮추고, 전해질교정, 중탄산염투여 지방대사 줄일 수 있도록

④-젖산증 경우: 산소농도 줄이거나 심장 순환 증가시켜 혈액순환 돕고, 가스교환 충분히 되도록 하며, 필요 시 승압제 사용

 

<대사성 알칼리증> 다 높음

① 중탄산염이 너무 많이 축적되어 배출해야 하지만, 환자 증상이 적어서 심하지 않으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도록 지켜봐야 함. 

Diamox와 같은 이뇨제(중탄산염 배출 증가시키는 이뇨제) 투여

③ (경련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낙상예방 간호

 

<석션 (기계적 흡인)>

  1. 손씻고 대상자 확인, 흡인의 목적과 절차 설명
  2. 반좌위, 흡인압점검
  3. 멸균장갑끼고 카테터 연결해 NS 통과
  4. 세츄모니터링하면서 산소공급 -> 카테터 빼면서 흡인 -> 산소 공급
  5. NS통과시켜 라인세척
  6. 장갑벗고 흡인기 끄고 물품정리


<ICP 상승>

①IICP 3대 징후

심한 두통, 오심 없는 투사성 구토, 유두부종입니다. 

후기증상으로는 의식변화 쿠싱3징후 (수축기 고혈압, 서맥, 불규칙한 체인스톡호흡)

② 침상 머리 30도 올리고, 기도 확보(저산소증 방지, 과도한 흡인 금지), 

③ 약물) 삼투성이뇨제 만니톨, 이뇨제 프로세마이드, 

④ 체액 및 전해질 관리: 과도한 수액투여를 방지하고 주기적 랩 팔럽 나트륨수준 유지 

 

< EVD 간호 >

(꼬리질문: 어디에 넣어야 하는지-뇌실 내, 위치 확인 어떻게 하는지-CT로 위치를 확인해서 카테터가 적절히 뇌실 안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 CSF 배액상태를 보고 뇌척수액 흐름 원활한지, 색상와 양상 관찰.)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는 뇌실외 배액관을 뜻하는 의학 용어로, NS에서 뇌출혈, 수두증, 뇌압 치료

①목적)뇌실 내 출혈이나 뇌척수액 과다로 두개내압 상승, 의식 악화시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배액시켜 ICP 조절하기 위해 적용된다.

②두개 내 sensor, transducer, 기록장치에 의해 지속해서 ICP를 측정한다.

  1. 담당의와 EVD 고정높이와 쉬프트당 배액할 양 확인(한번에 과하게 배액되지 않도록)
  2. zeroing 하기:EVD circuit의 drip nozzle(드립챔버 윗쪽)을 이주(tragus-몬로공의 해부학적 외적 지표) 높이로 조절
  3. leveling 하기: CSF 배액 위해 담당의와 확인한 높이 만큼 EVD 서킷의 드립노즐을 올려 레벨링 함. (수술실에서의 initial ICP가 EVD 고정위치 또는 배액량을 정하는 기준임.
  4. ex) tragus 상방 10cm로 유지한다면, 드립챔버옆에 pressure scale에 표시된 10에 맞추는 거임. 

③ICP 측정하기 (정상 5-15 cmH2O)

  1. 수파인으로 환자를 눕히고
  2. EVD 서킷의 옥실레이션(주기적 움직임) 확인
  3. 트라거스에서 EVD line을 수평으로 맞춘 후 이 지점을 영점으로
  4. EVD line을 영점에서 수직이되게 세워서 CSF 옥실레이션이 확인되는 지점의 높이를 읽는다. 
  5. 영점에서 CSF가 내려오다가 멈춘 지점까지의 높이가 ICP가 된다..

④ 이송 중 절대 뒤집히면 안되고, 이동중 꼭 잠근다. suction을 하거나 position change할 때 EVD를 clamping한 후 실시하고, 실시 후에는 clamping을 꼭 까먹지 않고 열어둡니다. 뒤집히면 air filter가 젖어서 정상적인 배액을 방해할 수 있다.

⑤감염예방 - 삽입부위 소독 및 무균 유지

⑥압력조절-EVD압력 높이에 따라 배액량을 조절

⑦CSF 관찰: 색깔(투명.혈성,탁도) 양상, 양을 주기적으로 기록

⑧튜브 위치 확인: 튜브가 꼬이지 않도록 관리

⑨신경학적 상태 평가: 의식수준, 동공반응, 신경학적 징후를 주기적으로 확인


<산모 출산 임박 증거: 진진통, 이슬, 양막파수>

태아가 내려가고 태동이 약해져요 (태아가 골반 아래로 내려가서 태동이 거의 느껴지지 X)

  1. 규칙적인 진진통(기간, 강도 사정)
  2. 이슬이 맺힙니다: 출혈에 의해 갈색을 띠고 투명하고 점도 높음. 
  3. 파막의 여부 확인(파수 의심 시 나이트라진검사- 청색으로 바뀌면 양수)-파막 후 24시간 이내 분만 시작

내진으로 현재 분만진행 상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