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직무 면접 준비] CTD, angina와 MI, DI와 SIADH, 신부전

선키 2024. 12. 22. 18:16

<CTD>

    1. 목적?
      1. 농흉, 혈흉, 기흉 시 흉막강 내 혈액 및 액/기체 제거 위함 (폐의 재팽창 도움)
      2. +흉수 배양검사, 항생제감수성 검사 등
    2. 간호?
      1. 천자시 테이블에 팔 올리고 엎드린자세 or supine에 팔 올린 자세+ 움직이지 말라고 교육
      2. 리도카인SC로 국소마취 후 기흉:2-3늑간, 혈흉:6-8늑간에 접근
      3. 시행 후 무균적 압박드레싱, V/S, 밀봉병 파동 확인, 개방성 유지 위해 자주 사정해야 함
    3. 교육? 배액관이 꼬이지X 눌리지X 침상보다 낮게, 이동시 흉관배액병 옮길때 빠지지 않도록 조심 (배액병-밀봉병-흡인조절병)
    4. 밀봉병 물?  석션이 안걸려있으면 숨들이쉴때 물 올라가고 내쉴때 물내려감. -> 기침할때 물기둥 움직이는지
      석션 걸려 있으면 공기방울 보글보글 있어서 석션이 걸려있는지 확인  
    5. 발관 시? 바세린 거즈로 막고 의사 노티. 연결부위가 빠진거라면 켈리로 잠그기 (침상 옆:바세린거즈, 켈리 항시준비)
    6. 제거시기? 배액량 거의 없고 X-ray 상 폐의 재팽창이 확인되었을 때
    7. 제거 후 드레싱? 무균적 폐쇄 드레싱


    8. Chest Tube 삽입 환자 chest pain + dyspnea 호소
      1. CTD 정확하게 있는지 먼저 확인. CTD가 꼬이거나 막혀있는지 확인 
        1. 빠진 거라면 바세린 거즈로 신속하게 CTD insertion site 덮고 vital sign 측정 후 Dr. notify. -> x-ray 팔럽
        2. 빠진게 아니라면 상체 올려 호흡 돕기, V/S, Saturation, chest pain PQRST 사정 후 Dr. notify -> 처방받은 산소 적용.
        3. 밀봉병안에있는 공기방울이 나와야하는데, 기흉일 시 폐안에 있는 공기가 나오는것이고 혈흉일땐 피, 농흉일땐 농 = 배액이 잘 되고 있다 , 압이 잘 걸려있다 

 


<기흉 종류>

  1. 자연기흉
    1.  1차성 기흉: 10-30대 키 크고 마른 남자. 폐의 표면에서 폐기포가 저절로 터지면서 
    2.  2차성 기흉: 폐질환(폐렴, 천식, 폐결핵 COPD) 있는 사람
  2. 외상성기흉: 찔렸을때(자상), 총상
  3. 긴장성기흉 (tension 뉴모소락) :  자연,외상성기흉 어느 경우에나 다 발생 흉막강 내 공기가 안빠져나가서 오히려 반대편 폐를 압박하는 응급상황
  • tension pneumothorax 시 봐야 할 혈액검사수치 ) ABGA입니다. CO2 level이 올라가서 mental 쳐지는지 확인
  • dignosis) x-ray, CT로 긴장성 기흉 진단합니다.

 

 

 

<위산 많을 때 쓰는 약물>

①제산제 - 이미 분비된 위산 중화. - 겔포스, 알마겔, 넥시움

②PPI - 산의 생산을 저하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③ H2 blocker -위산분비억제 -시메티딘, 파모티딘

 

 

< z-track 기법 > for 철분제, 페니실린계 약물등 자극성 약물일 시에 쓰임.

  1. 적어도 1.5~2인치 길이 주사바늘 준비 (3CC 시린지)
  2. 주사기 안에 0.2기포생기도록 하기 (시린지 안에 약물이 모두 나갈 수 있도록)-> 공기폐쇄기법
  3. 측둔근 처럼 큰 근육 주사부위로 선정
  4. 손의 모서리를 이용해 약 2.5cm 정도 조직을 옆쪽으로 끌어당겨 주사부위 피부 팽팽히
  5. 빠르게 찌른 후 혈액 나오는지 내관 당겨보기 
  6. 내관을 천천히 밀어 약물을 근육 내로 주입후 10초정도 기다려서 투여 약물이 넓게 스며들 시간 주기)
  7. 빠르게 바늘 빼고 문지르지 말기.(공기폐쇄기법, Z-track기법, 삼각근 IM 모두 문지르면 안돼)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①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상태가 오며 이때 갑작스런 흉통이 발생한다.

② 신체적 활동, 운동이나 정서변화에 의해서 발생되므로 = 노작형 협심증이라고도 한다.

③ 부위 : 대부분은 가슴 한가운데인 흉골 중앙하부에서 시작되고 좌측 어깨와 좌측 팔의 안쪽을 따라 팔, 목, 턱으로 방사

대부분 5분 이내 짧은 시간 지속되고 휴식,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으로 완화됨. 

 

<협심증 간호>

관상동맥의 부분적 폐쇄/ 협착으로 발생하는 심근의 허혈 상태

증상: 흉통, 창백, 심계항진, 발한, 호흡곤란, 불안, 공포

① V/S, 심전도 모니터 (ST 하강/ 상승, T파 역전)

② 통증 사정, NTG 설하 투여 (5분 간격 3회, 혀 작열감)

③ 처방에 따라 산소 공급

④ 안정된 환경 조성, 정서적 지지 제공

⑤ 심해지면 MI발전하면 PTCA (경피적관상동맥성형술), PCI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CABG (관상동맥 우회술) 시행 가능

⑥ 교육: 체중 조절, 저염/ 저지방 식이, 규칙적 운동, 금연

 

<NTG 설명>

설하투여, 5분마다 최대 3회 반복투여, 작열감 정상, 미리(운동하기전) 예방목적 투여가능, 갈색병에 보관

 

<심근경색 간호와 심전도>

①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쇄로 인해 심근이 괴사되는 상태.

②통증부위가 협심증보다 넒으며 양쪽 가슴과 팔까지 방사됨.

③통증은 30분 이상 지속.

④휴식이나 NTG로 완화되지 않고 마약성 진통제에 의해서만 완화됨.

⑤간호: 흉통시 v/s, EKG, Morphone IV(<->호흡중추 부작용시 날록손), 필요시 또한 산소공급을 하며  I/O 모니터링

⑥검사수치: myoglobin(가장먼저상승), troponin, CK-MB 상승

치료로는: 혈전용해제(스트렙토키나제, 유로키나제, tPA)를 투여하여 

시술에는:  PTCA 경피적경혈관관상동맥확장술 ,  PCI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CABG관상동맥우회술


 

 

 

< 요붕증 > DI (Dry inside로 외우면 쉬워요! 수분이 다 소변으로 나와서 몸 안은 건조하다)

① 다음, 다갈, 다 소변

② 원리) 뇌하수체에서 바소프레신(항이뇨 호르몬) 만들어져 저장되었다가 몸의 수분이 부족할 경우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고 신장에 작용하여 수분 배설을 감소시켜 소변을 농축시킴으로 몸의 수분을 유지

  -> 뇌하수체 기능이 상실되거나 호르몬이 부적절하게 분비되면 DI 발생

③ 증상) 하루 4-5L 정도의 소변을 보게되고 1-2시간 간격으로 소변. 야뇨증/빈뇨/다갈

④ 진단) 24시간 소변량이 kg당 50ml ->70kg의 경우 3.5L, 요비중 1.010이하

 

<소변이 안나오고 저나트륨, 요비중 상승일 시 관련된 질환이 무엇일까요? > 

답: SIADH (DI보다 글자수가 길어서, 그만큼 몸 안에 물이 많다고 생각하고 외우기! or 앞글자 SI를 Swelling Inside라고 생각하기)

  1. 이는 주로 급성 신부전(acute kidney injury, AKI)이나 SIADH(항이뇨호르몬 분비 증대) 같은 상태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AKI의 경우, 신장의 기능 저하로 인해 소변량 감소와 요비중 상승이 나타날 수 있고, 
  3. SIADH에서는 항이뇨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IADH DI
대표적 증상 저나트륨혈증 다뇨
Plasma volume Euvolemic ( or slightly hypervolemic) Euvolemic
Serum Hypotonic (<275 mOsm/l) Hypertonic (>310 mOsm/l)
Serum sodium decresing (<135 mEq/l) Increasing (>145 mEq/l)
Urine volume Low Voluminous( 하루 4~8L)
Urine osmolarity Relatively high Relatively low
Treatment 수분 제한, Na <120일 시 hypertonic saline 적용. 
Demeclocycline.
흔치 않지만 리튬 적용할 수 있음
supportive DDAVP 적용 고려
(Desmopressin)

 

DI와 SIADH는 면접 뿐만 아니라 국가고시, 미국간호사 시험에서도 잘 나오니 차이를 꼭 구분하여 알고 계세요~~

 

 

<신부전 증상 및 간호>

  1. 증상) 야뇨증, 수면장애, 피로감, 소화장애, 구역, 구토, 소변량 감소, 부종, 기억력 감퇴, 호흡곤란, 심부정맥, 경련, 혼수.
  2. 이뇨제 투여) 수분 , 전해질, 산 염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시 이뇨제를 투여
  3. 식이) 수분 섭취를 제한하고 저염분, 저칼륨, 고열량식이를 제공,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단백질의 섭취를 제한
  4.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주기적으로 I/O와 체중을 측정하며 전해질 수치를 확인
  5. 피부) 피부 손상 예방과 소양증 완화를 위해 국소 피부 완화제와 로션, 항히스타민제 적용
  6. 감염 예방) 감염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해 전신과 국소감염 증상을 관찰합니다. 
  7. 위의 중재로 교정되지 않을 때 투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