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직무 면접 준비] L-tube, 뇌종양간호, c-line, 자간전증, 의식사정 등

선키 2024. 12. 20. 19:21

 

 

 

 

 

<L-tube>

1. 목적

  • 위장관 문제로 인한 정체된 가스나 위장의 내용물을 제거
  • 위세척
  • 진단적 검사를 위해 삽입
  • 연하곤란 문제로 먹을 수 없는 환자에게 투약이나 영양을 공급
  • 출혈 확인 및 모니터링 위해

2. 삽입 길이의 측정방법

  • 코 끝에서 귓볼을 거쳐 흉골의 검상돌기까지의 길이를 더하여 측정

3. 삽입 후 위치 확인

  • 위액 흡인하여 색깔 확인 (무색,무향/ 노란색이나 푸른색, 담즙이 많이 섞인 경우 초록색)
  • 흡인된 액체의 산도를 측정 (강한 산성을 띰)
  • 환자의 왼쪽 상복부에 청진기를 대고 L-tube를 통해 소량의 공기를 주입하면서 청진
  • x-ray 통해서 L-tube 위치를 확인 
  • L-tube insert 후 L-tube에 표시되어있는 눈금을 확인하여 삽입 길이를 기록해두어야 함

4. 비위관의 잔류량이 얼마일 때 영양액 주입이 가능하며, 몇 cc 주입 가능한가?

: 200ml미만일때 영양액 주입, 200-250ml 이상일땐 주치의에게 노티하여 영양액 주입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합니다. (L-tube feeding을 skip합니다)

1분의 50ml 이하의 속도로 // 대략 하루에 약 400ml



<헤파린 보관법>

1. 밀봉상태로 실온(1-30도)에 보관하며(차광)

2. 개봉후에는 라인 플러싱용으로 사용하는 헤파린은 냉장보관합니다.

3. 투약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헤파린과 유사한 약물과는 구별해 분리보관

 

<IV PCA 부작용>

1. 마약성 진통제가 사용되므로 호흡억제, 오심 및 구토, 저혈압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V/S 및 환자 증상 모니터링

 

<편마비 부위에 채혈하면 안되는 이유>

1. 해당 부위의 혈관이 약화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2. 편마비 환자는 근력 저하나 감각 이상,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채혈 시 조직 손상, 출혈, 감염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3. 이런 이유로 편마비 부위의 채혈을 피하고, 다른 건강한 부위의 혈관을 선택하여 채혈해야 합니다.

 

<심전도 설명>

1. 심전도 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기록한 검사로, 심장의 리듬과 기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를 통해 부정맥, 허혈성 심질환 등 다양한 이상 소견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 해석>: 심실세동 V.fib

 

<중심정맥관>

1. 중심정맥관은 대정맥에 직접 삽입되며,

2. 수액 공급, 약물 투여, 중심정맥압 측정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됩니다

 

<PICC>. 

1. PICC는 말초 정맥에 삽입되지만 중심부까지 도달하는 카테터로,

2. 장기적인 수액 및 약물 치료에 적합합니다.

 

<비터널식 카테터>

사용기간: 단기간(2주~2개월)

용도: 항암제, 항생제, 고농도영양수액

명칭: CVC(c-line), PICC, Q-cath

*퇴원시 제거

*피하부위 터널을 만들지 않고 바로 직접적으로 혈관에 연결

 

<터널식 카테터>

사용기간: 장기간 (2개월 이상)

용도: 항암제, 고농도 영양수액, 혈액투석

명칭: hickman, perm cath, chemoport

*삽입한 채로 퇴원 가능.

*피하부위 터널을 만들어서 삽입

 

 

< 뇌하수체종양간호 (트랜스 스피노이달 어프로치) >

① TSA? Transsphenoidal approach 경접형동 접근법, 뇌하수체의 위치상 코를 통하여 수술

수술 직후 낮은 베개만 이용해 누워있도록 교육

③ 수술 후 맑은 콧물이 나오거나 목 뒤로 삼켜지는 기분이 들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라 교육합니다. 코를통한 뇌척수액 누출( 일시적이지만, 지속된다면 재수술 필요) 있다면 검체 bottle 제공해서 누출액 받아서 sugar test 하여 CSF인지 판단해야 함.

④합병증: 수술 후 요붕증(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i/o CHECK, 

⑤합병증: 뇌염, 뇌수막염, 패혈증 등 감염이나 염증, v/s CHECK

 뇌부종과 뇌내압 상승의 징후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 심한 두통으로 목의 강직 증상 시 알리도록 함. 

전신마취 합병증 -> 심호흡 운동 BUT, 기침, 재채기, 코풀기X 등은 하지 마십시오.

⑦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빨대는 사용을 피하도록 교육

⑧ 구강간호와 입술에 윤활유를 발라줌.



<자간전증 3대증상>

임신 20 주 이후 고혈압+단백뇨+부종

②심하면 고혈압으로 경련, 발작 발생하고 자간증으로 발전

③자간전증의 가장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출산

가벼운 자간전증이라면 의사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며 추적 관찰하고, 태아가 충분히 성숙할 때까지 출산을 늦춥니다. 

중증 자간전증은 경련을 예방하고 다른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가능하면 아기를 출산+경련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황산 마그네슘 치료를 받습니다.

 

<혈변과 흑색변 차이>

혈변hematochezia

- 소장, 대장, 직장이 원인인 하부위장관 출혈으로 발생하며

- 혈액이 위액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선홍색 변이 나타남

 

흑색변(melena)

- 식도, 위, 십이지장이 원인인 상부위장관 출혈으로 발생하며

- 자장면색과 같은 검은색 변이 나타남.

 

<E.O gas 소독> 

섬세하고 세밀한 수술기구, 각종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 카테터, 내시경 등 열에 약하고 습기에 예민한 기구들을 소독합니다. 

1회용 주사기, 수액세트, 카테터 등 관형태로 혈액과 직접 접촉하는 의료용구에 잔류되는 기체임.

 

<GCS 구하기>

E 4:자발적으로 눈뜨기 3:목소리에 눈뜨기 2: 통증에 눈뜨기

V 5:지남력있음 4: 지남력하나없음,혼돈 3:동문서답,부정확한단어 2:신음소리 1:E/T

M 6:명령따름 5:자극LOCALIZE 4:자극WITHDRAW(정상적반응54) 3:굴곡flexion 2:신전extension(비정상적반응32)

3~15점 만점/ 13점까지는 경증, 9점까지는 중등도 8점 이하 반혼수 중증!(->기도유지 및 인공호흡기 적용 고려) 3점 완전혼수

 

<Motor power=muscle power>

0점 no movement

1점 근수축 있으나 움직임 없음(손가락 까딱)

2점 중력배제 능동적 수평 움직임

3점 중력대항 능동적 움직임

4점 중력과 약간의 저항에 대항한 능동적 움직임. 잠깐 떼면 4- 많이 때면 4+

5점 정상 근육강도 

 

<LOC: level of consciousness>

Alert<-반응속도->Drowsy (느리게 반응) 이 사이는 nearly alert.

Drowsy<-의사소통->Stupor (의사소통이 아예 안되고 대답안하면) 이 사이는 deep drowsy

Stupor<-자발적운동->Semi-coma (통증주면 신전굴곡)

Confusion

coma